Unix에서 한글 utf-8 활용을 위한 설정방법

Categories ,

env 로 환경 확인

unix shell 하에서 env 를 실행하여 LANG 변수 값을 확인한다.
LANG=ko_KR.utf8 과 같이 utf8이 보이면 LANG 변수 세팅은 되어 있는 것이다.
LANG=ko 와 같이 되어 있다면 계정환경 설정파일을 수정해야 하지만 그 전에 시스템이 지원하는 로케일을 먼저 확인해야 한다.

locale -a 명령으로 이용가능한 로케일을 확인

ko.UTF-8이나 ko_KR.UTF-8 이 있으면 이것을 LANG 변수에 설정하면 된다.
ko_KR.UTF-8에서 ko는 언어를 한국어로 지정하는 것이고 KR은 지역을 한국으로 지정하는 것이며 UTF-8은 문자셋 또는 인코딩을 지정하는 것이다.
_KR이 있으면 unix 명령 실행시 한글메시지가 출력되고, date 같은 명령 실행시에도 한글로 출력된다.

LANG 변수 설정

LANG 변수 설정은 bourn shell 인 경우 ~/.bash_profile을 수정한다.
export LANG=”ko_KR.utf8″
c shell인 경우 ~/.cshrc 을 수정한다.
setenv LANG ko_KR.utf8

텔넷소프트웨어 세팅

텔넷소프트웨어에서 utf-8을 지원해야 텔넷에서 한글을 제대로 볼 수 있다.
SecureCRT 프로그램은 version 6부터 utf-8 을 지원한다.
SecureCRT에서 Options – Session Options – Terminal – Appearance를 차례로 선택하여 우측의 Character encoding을 UTF-8로 선택한다.

Use Unicode line-drawing characters는 유니코드 줄긋기용문자를 사용하는지를 체크하는 것인데 UTF-8과는 별관계가 없다.

vi 에디터 세팅

~/.vimrc 를 다음과 같이 수정
set fileencodings=utf-8,cp949,iso-8859-1

적혀져 있는 순서대로 파일인코딩을 분석하여 기존파일의 인코딩을 유지해 준다.
새로 만드는 파일은 맨 앞에 있는 인코딩으로 인코딩된다.(여기서는 utf-8)

vi 내에서 현재 파일의 인코딩을 확인하려면 :set 명령을 입력해서
fileencoding 값(fileencodings와는 마지막에 s가 없는 것이 차이)을 확인하면 된다.  

파일인코딩값의 종류는 http://vimdoc.sourceforge.net/htmldoc/mbyte.html#encoding-values 참조.
참고로 cp949는 euc-kr과 같고, iso-8859-1은 latin1과 같음.

Leave a Comment